가을로 가는 순천동천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
'::지금 여기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여기는] 순천 오천그린광장 늦은 오후풍경 / 남도지오그래픽 (0) | 2023.10.23 |
---|
가을로 가는 순천동천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
[지금 여기는] 순천 오천그린광장 늦은 오후풍경 / 남도지오그래픽 (0) | 2023.10.23 |
---|
편안하고 여유로운 휴식처, 오천그린광장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0
기사원본 : http://www.namdogeo.com/news/articleView.html?idxno=70
[지금 여기는] 순천 동천, 풍덕경관정원, 오천그린광장 / 남도지오그래픽 (0) | 2023.10.23 |
---|
Windows11 네트웍없이, MS계정없이 OS설치
상황에 따라 네트웍 환경이 없는경우나, MS계정이 없이 로컬계정으로 OS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경우는 강제 명령 프롬프트에 수동설치 관련 명령어를 입력 후. 자동 재시작이 되면 가능하다.
1. 네트웍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터넷이 안되거나, 랜선이 뽑힌 상태)에서
키보드에서 Shift 키 + F10키를 누르면 강제 명령 프롬프트(CMD) 창이 열린다.
2. CMD창이 열리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시스템이 재시작이 된다.
OOBE\BYPASSNRO
3. 재부팅이 되고, 네트웍이나 MS계정없이 윈도우 설치가 가능하다.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오류 0x000000709). 프린터 이름을 다시 확인하고 ... 문제해결 방법 (0) | 2018.06.04 |
---|---|
windwos7 비밀번호초기화(고정키파일->cmd로 변경) (0) | 2015.10.13 |
windows(8) 내레이터(음성 읽기, 음성출력) 기능 해제 방법 (0) | 2015.04.10 |
원격데스크탑(mstsc) 접속불가 / "명령 처리에 사용할 서버 저장 공간이 부족합니다" (0) | 2013.03.26 |
Windows7(윈도우7)에서 자동 로그인 설정하기 / netplwiz (0) | 2012.06.05 |
오픈한지 얼마 안된 아랫장 맛집 순천우거지 입니다.
오늘은 마침 장날이라, 이런 저런 구경 하면서 장을 갔었는데..
여기, 저기 구경하다보니 출출해져, 시간을 보니 점심시간 이네요..
두리번 거리다. 금, 토 야시장이 열리는 뚜껑덮힌 "유개장옥" 안에 있는 "순천우거지"를 발견했습니다.
가격도 착하고, 이제 막 오픈한 집인듯 했습니다.
#우거지국밥 : 5,000원 / #순천미나리전 : 4,000원
우거지국밥 3개, 순천미나리전 1개 시켰습니다. 간단히? 개도막걸리도 1병!!
맛나게 잘 먹었습니다.
가성비 좋습니다.
다음에 한번더 가봐야겠습니다.
순천미나리전!! 등판!!
양념장 짱입니다!!
미나리.. 양이 장난 아닙니다!!
그릇째 먹었습니다. ㅋㅋ
"순천우거지" 가게 위치는 "순천아랫장"에 위치한
금요일, 토요일 야시장이 열리는 뚜껑덮힌 "유개장옥" 안에 있는 중앙 전광판 왼쪽에
"순천우거지"라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순천시 장평로 60
[광양카페 / 마리웨일마카롱 광양읍점] 마카롱 900원, 커피 990원 (1) | 2016.09.07 |
---|---|
[광양카페/마리웨일마카롱] 프랑스 900원 마카롱 광양읍 상륙! / 저렴한가격에 고품격 마카롱을 즐길수 있는 기회 (0) | 2016.09.06 |
1. 기본절차 (서비스시작)
$ tnsping localhost // 서비스 정상 작동확인, 오라클 Ping 확인
$ su - oracle // 오라클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sqlplus / as sysdba // sqlplus로 오라클 접속
SQL> startup // 오라클 DB를 시작한다.
SQL> exit // sqlplus 빠져나온다.
$ lsnrctl start // 오라클 리스너 시작 (오라클 계정상태에서 확인)
$ tnsping localhost // 오라클 Ping 확인
2. 기본절차 (서비스종료)
$ su - oracle // 오라클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lsnrctl stop // 오라클 리스너 종료
$ sqlplus / as sysdba // sqlplus로 오라클 접속
SQL> shutdown immediate
SQL> exit
$ tnsping localhost // 오라클 Ping 확인
3. 기본절차 (재시작)
$ su - oracle // 오라클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lsnrctl stop // 오라클 리스너 종료
$ sqlplus / as sysdba // sqlplus로 오라클 접속
SQL> shutdown immediate
SQL> startup
SQL> exit
$ lsnrctl start // 오라클 리스너 시작
$ tnsping localhost // 오라클 Ping 확인
2-1. 이슈사항
Sqlplus 및 lsnrctl 명령어 확인 불가시
.bash_profile 재등록 필요(oracle 계정으로)
$ cd ~
$ source .bash_profile
[Oracle11g] 사용자암호만료 / 사용자잠김 / ORA-28001: the password has expired / 만료기한 설정 (0) | 2018.08.17 |
---|---|
오라클(oracle) 테이블스페이스 용량 변경 쿼리(query) (0) | 2014.03.27 |
오라클설치후 / 기본 .bash_profile설정 / db start, stop 스크립트(script) (0) | 2014.03.27 |
http://download.oracle.com/otn-pub/java/jdk/6u34-b04/jdk-6u34-linux-x64.bin (0) | 2012.11.06 |
유용한 Oracle명령어 (0) | 2011.10.23 |
Linux CentOS 7 ssh(SSH) 포트 변경 / linux centos ssh port change (0) | 2021.12.10 |
---|---|
CentOS 7 네트워크 장치(디바이스) 이름 변경 / eth, 이더넷 (0) | 2021.12.10 |
CentOS 6 / Linux mac address 변경 / vmware, 가상화, 맥어드래스, 인터넷 (0) | 2021.07.13 |
리눅스 콘솔 해상도 조정, 설정 / linux, (0) | 2020.01.15 |
Linux Hdd 파티션 & mount 방법 (0) | 2019.12.24 |
보안 차원에서 ssh 서비스 기본 포트인 22번을 다른 포트로 변경 할 경우가 있다.
ssh 기본 포트 22 번을 사용할 경우 외부에서 불법 해킹 시도로 접속 시도가 많다.(물론 방화벽에서 제어 가능)
이럴때 기본 포트만 변경 만드로 이런 불법 시도를 차단 할 수 있다.
1. 방화벽에 변경 할 포트 설정
예제는 "9022" 번으로 포트를 변경하려 한다. 옵션에 변경 할 포트를 써서 방화벽 정책으로 추가한다.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9022/tcp
# firewall-cmd --reload
2. ssh 환경 설정
기본 환경파일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수정한다. 기본 주석처리가 되어 있다. 수정 또는 추가 하여 설정한다.
# vi /etc/ssh/sshd_config
#Port 22
Port 9022
** 보안 추가 설정 **
ssh 로 root 접속을 차단하려면 아래 옵션을 활성화 한다.
- 변경전 : #PermitRootLogin yes <== 주석 해제 및 아래처럼 " no"로 수정
- 변경후 : PermitRootLogin no
3. 서비스를 재구동
# systemctl restart sshd
*** 만약 오류가 난다면. ***
Job for ssh.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ssh.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 중요 ** selinux 를 사용할 경우 포트 변경(* semanage 는 SELinux Policy Management tool)
#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9022
다시 서비스를 재구동
# systemctl restart sshd
** 혹시 그래도 오류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 설정한 "/etc/ssh/sshd_config" 파일등을 다시 확인하여 오타나 오류가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CentOS HDD 디스크 추가 / uuid로 마운트(mount) / ext4 포멧(format) (0) | 2022.08.22 |
---|---|
CentOS 7 네트워크 장치(디바이스) 이름 변경 / eth, 이더넷 (0) | 2021.12.10 |
CentOS 6 / Linux mac address 변경 / vmware, 가상화, 맥어드래스, 인터넷 (0) | 2021.07.13 |
리눅스 콘솔 해상도 조정, 설정 / linux, (0) | 2020.01.15 |
Linux Hdd 파티션 & mount 방법 (0) | 2019.12.24 |
** 리눅스, CentOS 7 기준 네트워크 장치명 변경 방법
1. 디바이스 장치명 확인
네트워크 장치명 확인을 위해, "ifconfig -a" 명령어 실행.
명령어 실행해 보면 "eth0", "lo" 처럼 장치명이 보이고, 이 장치명을 변경 해 보자.
2. 커널 옵션 추가
#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 옵션 맨 뒤에
"net.ifnames=0 biosdevname=0" 커널 옵션 추가.
GRUB_TIMEOUT=5
GRUB_DISTRIBUTOR="$(sed 's, release .*$,,g' /etc/system-release)"
GRUB_DEFAULT=saved
GRUB_DISABLE_SUBMENU=true
GRUB_TERMINAL_OUTPUT="console"
GRUB_CMDLINE_LINUX="crashkernel=auto spectre_v2=retpoline rd.lvm.lv=centos/root rd.lvm.lv=centos/swap rhgb quiet net.ifnames=0 biosdevname=0"
GRUB_DISABLE_RECOVERY="true"
3. 부트로더 수정
#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4. 디바이스 이름 변경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이동하여, "ifcfg-0000" 원하는 장치명으로 변경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ifcfg-0000 해당 파일 내용중 NAME=ehh0 부분, 바꾸고 싶은 이름으로 수정
CentOS HDD 디스크 추가 / uuid로 마운트(mount) / ext4 포멧(format) (0) | 2022.08.22 |
---|---|
Linux CentOS 7 ssh(SSH) 포트 변경 / linux centos ssh port change (0) | 2021.12.10 |
CentOS 6 / Linux mac address 변경 / vmware, 가상화, 맥어드래스, 인터넷 (0) | 2021.07.13 |
리눅스 콘솔 해상도 조정, 설정 / linux, (0) | 2020.01.15 |
Linux Hdd 파티션 & mount 방법 (0) | 2019.12.24 |
1. 포워드(forward)
- request스코프에 담긴값이 유효하다.(request,response가 유지된다.)
- 이동된 url이 화면에 안보인다.(사용자는 이동했는지 알수없음)
- 포워드하는 방법
1) pageContext.forward("이동할페이지");
2) ;
3) RequestDispatcher rd = request.getRequestDispatcher("이동할페이지");
rd.forward(request,response);
2. 리다이렉트(redirect)
- 클라이언트가 새로 페이지를 요청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페이지가 이동됨.
request, response가 유지되지 않는다.(새로 만들어짐.)
- 이동된 url이 화면에 보인다.
- 리다이렉트 하는 방법
response.sendRedirect("이동할페이지");
** forward 방식은 request 값이 유효하여, 값이 전달 된다, 처음 접속했던 페이지 주소가 유지된다(사용자는 페이지가 바뀐 사실을 모를수 있다.)
** redirect 방식으로 파라메터 값을 넘기면 값은 null이다. 처음 접속했던 페이지 주소는 redirect할 주소로 바뀐다.
redirect 방식은 request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redirect 되면서 값이 없어진다.
response.sendRedirect("result.jsp?id=1"); 이렇게 찍어보면 1이 넘어간다.
리눅스 기반의 시스템에서 네트웍카드를 변경시키거나, 가상화 기반의 시스템을 복사해서 새롭게 서버를 운영하려고 할때 간혹, 기존 맥어드레스 정보가 새롭게 변경된 정보를 반영이 안되어 네트웍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때가 있다.
아래의 경우는 가상화 기반의 시스템을 새롭게 복사해서 새로운 가상화서버로 운영하려고 할때, 기존 네트웍카드의 맥어드레스정보가 새롭게 변경된 정보로 업데이트 되지 않을때의 경우입니다.
VMware 가상 머신을 복사해서 새롭게 가상 머신을 운영하려 하면 MacAddress가 변경됩니다.
가상머신에서 사용하는 네트웍카드의 경우, 가상의 MacAddress를 사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복사를 해서 운영하려는 가상머신은 새롭게 변경된 정보를 네트웍 정보에 반영 시켜 줘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부팅해보면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하지 않습니다.
Mac Address를 변경하여 네트워크를 정상 동작하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entOS 6.9 기준 설명입니다.
먼저 네트웍카드정보의 MacAddress 부분의 정보를 변경해 줍니다.
/etc/sysconfig/networking-scripts/ifcfg-eth0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줍니다.
HWADDR=00:50:56:39:FA:2A 부분을 새로운 Mac Address를 입력해줍니다.
그다음 최종 반영을 위해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파일을 삭제해서 새롭게 자동생성시켜주거나
해당 파일을 열어 MacAddress 부분만 변경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삭제를 하고 재부팅하면 새로운 Mac Address에 맞게 이 스크립트가 새로 생성됩니다.
Linux CentOS 7 ssh(SSH) 포트 변경 / linux centos ssh port change (0) | 2021.12.10 |
---|---|
CentOS 7 네트워크 장치(디바이스) 이름 변경 / eth, 이더넷 (0) | 2021.12.10 |
리눅스 콘솔 해상도 조정, 설정 / linux, (0) | 2020.01.15 |
Linux Hdd 파티션 & mount 방법 (0) | 2019.12.24 |
Centos Hostname 변경 / Linux / 영구변경 / 직접변경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