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netstat -an
Active Connections
Proto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0.0.0:135 0.0.0.0:0 LISTENING
TCP 0.0.0.0:445 0.0.0.0:0 LISTENING
TCP 0.0.0.0:2869 0.0.0.0:0 LISTENING
TCP 127.0.0.1:1027 127.0.0.1:1028 ESTABLISHED
TCP 127.0.0.1:1028 127.0.0.1:1027 ESTABLISHED
TCP 127.0.0.1:1029 0.0.0.0:0 LISTENING
TCP 127.0.0.1:1034 0.0.0.0:0 LISTENING
TCP 127.0.0.1:5354 0.0.0.0:0 LISTENING
TCP 192.168.10.150:139 0.0.0.0:0 LISTENING
TCP 192.168.10.150:2070 61.63.80.81:80 SYN_SENT
UDP 0.0.0.0:445 *:*
UDP 0.0.0.0:500 *:*
UDP 0.0.0.0:1026 *:*
UDP 0.0.0.0:4500 *:*
UDP 127.0.0.1:123 *:*
UDP 127.0.0.1:1058 *:*
UDP 127.0.0.1:1090 *:*
UDP 127.0.0.1:1129 *:*
UDP 127.0.0.1:1900 *:*
UDP 192.168.10.150:123 *:*
UDP 192.168.10.150:137 *:*
UDP 192.168.10.150:138 *:*
UDP 192.168.10.150:1900 *:*
UDP 192.168.10.150:5353 *:*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1001&docId=67485054&qb=bmV0c3RhdCAxMzU=&enc=utf8§ion=kin&rank=1&sort=0&spq=0&pid=gviiag331xhssZCuRKZssv--388711&sid=TDZZFfLnNUwAAEkCTbo
135포트가 열려있다면..
우선 Worm.Agobot라는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면
135포트가 열리게 된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치료를 해도..열려 있죠.. Worm.Agobot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Win32/AgoBot.worm.64000
다른 이름 Backdoor.Agobot.3.gen, W32/Gaobot.worm.gen
감염시위험도 3등급(위해)
확산위험도 2등급 현재 확산도 3등급
종류 웜 감염 형태 실행파일
감염 OS 윈도우 감염 경로 네트워크/보안취약성
최초 발견일 2003-11-27 국내발견일 2003-11-27
특정 활동일 특정일 활동 없음 제작국 불분명
진단 가능 엔진 2003.11.29.00 치료 가능 엔진 2003.11.29.00
※ 표기된 날짜 이후의 엔진으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증상 - TCP/135, 445 포트에 대한 트래픽이 증가한다.
- 특정한 IRC 서버로 접속을 시도한다. (TCP/9900 오픈)
내용 Win32/AgoBot.worm.64000 는 많은 변형을 가지고 있는 AgoBot 웜의 변형중에 하나이다. 유사한 변형으로는 다음고 같은 변형들이 있다.
이 웜은 다양한 취약점을 이용하여 자신을 전파하며 전파시 특정 포트들에 대한 트래픽 증가를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특정한 IRC 서버의 채널에 접속하고 있다가 접속에 성공되면 Offer 라고 불리우는 사람에게 원격제어를 받을 수 도 있다. 이런 경우 시스템 정보등을 유출 당할 수 있다.
- 전파방법 및 대상
이 웜의 전파방법은 총 3가지 이며 취약점을 이용한 경우는 다음의 2 가지이다.
- MS03-026 RPC DCOM 취약성 (한글)
- MS03-007 WebDAV 취약점 (한글)
그리고 다른 하나는 다음과 같다.
- IPC$ (관리목적공유폴더의 null session 또는 유추하기 쉬운 사용자명과 암호들)
전파시 사용하는 포트 와 대상 IP는 다음과 같다.
- TCP/135
- TCP/445
- TCP/80 (WebDAV)
'+::Computer:: >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10에서 슬라이드 종료 기능을 활용 / SlideToShutDown.exe (0) | 2020.01.30 |
---|---|
마우스 오른쪽버튼에 버튼등록 (0) | 2011.10.23 |